티스토리 뷰
얼마전 다리에 붉은 반점이 생겼습니다. 두드러기와 비슷해 보였는데, 며칠이 지나도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았습니다. 피부로 드러난 문제이긴 했지만, 뭔가 속에서 문제가 생긴 것 같아서 어느 진료과로 가야 할지 고민이 되었습니다.
검색을 해보니 가까운 곳에 평이 좋은 한의원이 있었습니다. 8체질 진료를 하는 곳이었는데, 8체질이 뭔지도 잘 몰랐고, 한번도 한의원을 가본 적은 없지만 일단 가보기로 했습니다.
의사선생님은 증상을 보자마자 자반증이라고 진단했습니다. 처음 들어본 병명이었는데, 혈관 염증이 원인이라고 하더군요.
간단한 설문조사를 했고, 저의 체질을 알려주며 일단 침을 놓았고, 음식을 가려 먹으라고 했습니다.
자세한 섭생표는 이후 정확한 진맥후 다시 제시해 주셨는데요, 약 없이 침 맞고 음식조절만으로 금세 좋아졌습니다.
그래서 8체질이 무엇인지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8체질이란?
8체질은 한국의 한의학자 권도원 박사(1921-2022)가 개발한 체질 분류법입니다. 이 이론은 1965년 10월 24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제1회 국제침구학회에서 처음 발표되었습니다. 8체질 이론은 사람마다 타고난 체질이 다르며, 이에 따라 음식, 생활 습관, 치료 방법이 달라야 한다는 개념에 기반합니다. 8체질의 핵심 개념은 인체 내 장기들의 강약배열구조가 사람마다 8가지 다른 형태로 존재한다는 것입니다. 이는 오장육부의 기능적 강약 배열을 기반으로 하며, 각자의 장기 기능과 면역 체계의 특성에 따라 구분됩니다. 8체질의학은 개인에게 최적화된 건강 관리 방법을 찾는 데 초점을 둡니다. 8체질은 동양의학의 기본 개념인 음양오행 이론을 바탕으로 하며, 사상체질의학을 더욱 세분화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 이론은 한국 고유의 체질의학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질병의 예방과 치료, 그리고 개인의 전반적인 건강 관리에 활용되고 있습니다.
8체질 상세 내용
8체질은 크게 목양체질, 목음체질, 토양체질, 토음체질, 금양체질, 금음체질, 수양체질, 수음체질로 구분됩니다. 각 체질별 특성과 체형, 그리고 드러나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목양체질 (Hepatonia):
- 특성: 간이 가장 강한 체질
- 체형: 상체가 발달하고 하체가 약한 편
- 특징: 눈이 크고 밝으며, 목소리가 맑고 높음. 성격이 급하고 활동적
목음체질 (Cholecystonia):
- 특성: 담낭이 가장 강한 체질
- 체형: 상체와 하체의 균형이 잡힌 편
- 특징: 얼굴이 갸름하고, 피부가 희고 맑음. 성격이 꼼꼼하고 신중함
토양체질 (Pancreotonia):
- 특성: 췌장이 가장 강한 체질
- 체형: 상체가 발달하고 복부가 둥근 편
- 특징: 얼굴이 둥글고 살집이 있으며, 성격이 온화하고 느긋함
토음체질 (Gastrotonia):
- 특성: 위장이 가장 강한 체질
- 체형: 전체적으로 균형 잡힌 체형이나 복부가 약간 나온 편
- 특징: 입이 크고 턱이 발달했으며, 식욕이 좋고 사교적인 성격
금양체질 (Pulmotonia):
- 특성: 폐장이 가장 강한 체질
- 체형: 가슴이 발달하고 어깨가 넓은 편
- 특징: 코가 높고 목소리가 맑으며, 깔끔하고 정의로운 성격
금음체질 (Colonotonia):
- 특성: 대장이 가장 강한 체질
- 체형: 하체가 발달하고 엉덩이가 큰 편
- 특징: 피부가 하얗고 매끄러우며, 성격이 차분하고 신중함
수양체질 (Renotonia):
- 특성: 신장이 가장 강한 체질
- 체형: 허리가 가늘고 하체가 발달한 편
- 특징: 귀가 크고 잘 발달했으며, 성격이 강인하고 의지가 강함
수음체질 (Vesicotonia):
- 특성: 방광(자궁)이 가장 강한 체질
- 체형: 하체가 발달하고 골반이 넓은 편
- 특징: 엉덩이가 발달했으며, 성격이 온순하고 참을성이 강함
각 체질은 이러한 신체적, 성격적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적합한 음식, 생활 습관, 운동 방법 등이 달라집니다. 8체질 이론에서는 이러한 개인의 고유한 특성을 고려하여 맞춤형 건강 관리 방법을 제시합니다.
8체질 자가진단
아래 링크에서 자가 진딘을 해 보니 한의원에서 나온 것과 대략 비슷하게 나오는 것 같아요. 하지만 어디까지나 이 검사는 참고용이고, 정확한 진단은 전문 한의원에서 진단을 받아야 합니다.
8체질과 사상체질의 차이
한의학에서 체질을 분류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사상체질(태양인, 태음인, 소양인, 소음인)과 8체질이 있습니다. 두 체질 분류법의 주요 차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분류 기준:
- 사상체질: 성격과 장부의 균형을 바탕으로 4가지 유형으로 나눕니다.
- 8체질: 장기의 상대적 강약과 면역 체계를 기반으로 8가지로 세분화됩니다.
진단 방법:
- 사상체질: 소증(素證) 설문지 검사와 안면 계측 검사 등을 통해 체질을 진단합니다.
- 8체질: 오로지 요골동맥의 진맥으로만 체질을 진단합니다.
치료 방법:
- 사상체질: 각 체질별 한약 처방을 제시합니다.
- 8체질: 각 체질별 침 처방을 제시합니다.
8체질에 따른 건강 관리
8체질의학에서는 체질에 따라 평생 동안 섭생을 다르게 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예를 들어:
- 수(水)체질: 더운 성분의 음식이 유익
- 토(土)체질: 찬 성분의 음식이 유익
- 목(木)체질: 육식이 유익
- 금(金)체질: 채식이 유익
또한 음식뿐만 아니라 주거환경, 의복, 안경 렌즈의 색깔, 운동, 취미 등도 체질에 따라 다르게 권장됩니다.
결론
8체질의 분류법은 과학적 검증 부족으로 논란이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하지만, 재 경우, 실제로 치료효과를 경험하면서 이 이론에 대한 신뢰가 생겼습니다.
특히, 단순히 질병에 대한 치료에만 초점을 맞추지 않고, 각 체질에 맞는 섭생과 생활습관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점이 인상깊었습니다. 이러한 접근법은 장기적으로 볼 때 건강과 웰빙의 탄탄한 기초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8체질 섭생표, 토양체질 치료 사례 (0) | 2025.02.23 |
---|---|
최고의 항산화 수퍼푸드 마키베리의 효능 6가지 (0) | 2024.01.20 |
사과식초(ACV)with "마더Mother" - 효능, 섭취방법, 주의사항 (1) | 2023.05.06 |